의정 갈등 상황 속에 추석 연휴 기간 '응급실 대란' 우려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정부는 큰 혼란 없이 고비를 넘긴 거로 판단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응급의료 대응 상황을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보건복지부 장관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금 이 시간에도 의료현장에서 헌신하고 계신 의료진분들, 환자 이송과 응급처치를 맡아주시는 119 구급대원분들, 응급 의료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계신 응급상황실 근무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 <br /> <br />지난 14일부터 추석이었던 어제 17일까지 전체적인 응급의료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 다른 명절 연휴와 비교해서 문 연 의료기관은 증가하였고, 응급실 내원 환자는 경증환자 중심으로 감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증응급질환을 진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평일 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며, 의료인력은 전공의 집단행동 이전보다 크게 감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증 응급진료 여건이 좋지 않았고, 의료인력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, 의료기관들의 적극적인 진료 참여, 응급의료 현장 의사, 간호사, 직원분들의 헌신과 노력, 더 필요한 분에게 응급실 이용을 양보하는 국민 여러분의 높은 시민의식이 함께 작용하여, 연휴 기간 응급의료체계가 중증환자 중심으로 작동한 것으로 파악됩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연휴 기간 중 응급의료의 세부적인 현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. 첫째, 문 연 의료기관의 수입니다. <br /> <br />연휴 첫날인 9월 14일 29,823개소, 9월 15일 3,247개소, 9월 16일 3,832개소, 추석 당일인 9월 17일에는 2,223개소의 의료기관이 문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 평균 9,781개소로, 당초 예상했던 8,954개소보다 827개소 증가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작년 추석연휴 기간 5,020개소 대비 95% 많으며, 올해 설연휴 기간 3,666개소에 비해서는 167% 많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추석 당일에 문 연 의료기관은 2024년 설 당일, 2023년 추석 당일과 비교하면 약 600개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응급실 운영 현황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 411개의 응급실 중 3개소를 제외한 408개의 응급실은 연휴 동안 매일 24시간 운영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세종충남대병원은 9월 14일, 15일 양일간 주간만 운영하였으나, 9월 16일부터 추석 연휴기간 동안 24시간 운영 중입니다.건국대충주병원과 용인 명주병원은 추석 연휴 동안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았지만 지역 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1814112069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